중국어 문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23 09:01
본문
Download : 중국어 문학.hwp
2. 《詩經》의 명칭
과거에는 ‘詩三百’ ‘詩’라고 했다. 東漢의 鄭玄(127-200)이 여기에 箋을 썼다.
3. 《시경》의 편찬 배경
1) 采詩 獻詩 陳詩등을 통해 민심과 풍속을 살피던 선진의 제도
《漢書·藝文志》의 ‘采詩之官’---임금이 각 지방의 풍속을 살피고 정치의 잘잘못을 알아 시정이 참고로 삼으려고 각지의 민가를 채집하는 임무를 맡은 관리를 두었다
《國語·周語上》의 ‘獻詩’---천자가 聽政할 때 獻詩하는 제도가 있었다
《禮記·王制》의 ‘陳詩’---천자가 지방을 巡狩할 때 지방마다 太師로 하여금 陳詩하게 하여 民風을 살폈다
2) 시의 효용
《좌전》에 ‘시’의 용도를 밝히고 있는데, (1) 大雅 頌처럼 천자나 왕후의 전례에 쓰이고 (2) 윗사람의 잘못을 깨우치기 위한 목적으로 쓰이고 (3) 개인적인 감정이 표현 수단으로 쓰이고 (4) 외교사절들이 외교 활동을 할 때 시로 서로의 마음을 암시하는 습속이 있었다고 …(생략(省略))
중국어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중국문학사선진문학
설명
1. 선진문학
- 서주문학(시경)
- 동주문학(기사의 글, 입언의 글)
2. 한대문학
- 초사
- 한부
- 한대산문
- 한대시가
- 신화우언전설
3. 위진남북조 문학
- 시
- 민가
- 사부와 산문
- 소설(지괴, 지인)
- 문학비평
4. 당대문학
- 시
- 산문
- 민간문학
- 당오대 문인사
- 전기소설
1. 선진문학
《詩經》
《시경》은 中國 最古의 시가집이고 흔히 中國文學之祖라고 불려진다.
1. 《시경》의 판본
오늘날 전해지는 것은 《毛詩》로 《한서·예문지》에 《毛詩》29권과 《毛詩詁訓傳》30권이 있었다고 하는데, 《모시고훈전》만 전해지고 있다 이것이 현존하는 最古의 《시경》의 판본이고 해설서이다. 공자가 ‘詩’를 六經에 포함시키고 후대의 유학자들이 경전의 하나로 생각하여 점차 《시경》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시경》이란 명칭은 漢代에 처음 보이고 明代 이후에야 유행되었다.
Download : 중국어 문학.hwp( 97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중국어 문학에 대한 입니다. 중국문학사선진문학 , 중국어 문학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중국어 문학
다.
《시경》은 서주 초인 B.C. 1100년경에서 春秋 중엽인 B.C. 600년 무렵에 이르는 약 500년 사이에 불려지던 민간 가요와 사대부들의 노래 및 왕실의 연회·의식이나 종묘에서 제사지낼 때 부르던 노래의 가사들을 후세 사람이 요약하여 편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시경》에 수록된 시들의 정확한 저작 연대 ·《시경》의 정확한 편찬 연대·시들이 원래의 모습을 보존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련되어는 증명할 길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