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 사상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2-30 19:13
본문
Download : 퇴계 이황 사상 연구.hwp
그리고 한말 개화기의 대표적 유학자인 위암 장지연(偉庵, 張志淵, 1864~1920)은 처음으로 한국 유학사를 요약하는 자리에서 이황에 대하여 “그 정학을 천명하고 후생을 개도함으써 공맹 정주의 도를 환히 우리 동방에 다시 밝힌 사람은 오직 선생 한 분뿐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이황의 제자 월천 조목(月川, 趙穆, 1524~1606), 문봉 정유일(文峯 鄭惟一, 1533~1576) 등은 이황을 가리켜 “동방의 일인(一人)”이라 하였다.
그리고 이황과 그의 학문에 대한 평가는 Japan 학자들의 견해 속에서도 발견되었다.
이와 같이 수많은 학자들이 이황과 그의 학문이 한국 유학, 특히 성리학을 대표하는 것이라 믿어오고 있다아 이러한 한국 성리학을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이황의 삶과 그의 사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인문사회,레포트
퇴계이황
레포트/인문사회
퇴계 이황 사상 연구
Download : 퇴계 이황 사상 연구.hwp( 46 )
설명
퇴계 이황 선생의 주요 연구활동과 사상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그는 글을 배우기 전까지 어머니로부터 품행 교육을 받았으며 6세에 이웃 노인에게 처음으로 「천자문…(To be continued )
순서
다.퇴계이황 , 퇴계 이황 사상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퇴계 이황 선생의 주요 연구활동과 사상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그 재주와 기국(器局)은 혹 정암에 못 미칠지 모르겠으나, 의리를 탐구하여 정미한 것까지 드러내는 데서는 정암이 미치지 못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수고산(藪孤山)은 이황을 주자에 이어 유학을 전통을 잇는 한국 유학의 대표적 인물로 평가하면서 Japan의 유학이 이러한 이황에 의하여 발달하였다고 하였다. 도변예재(渡邊豫薺)는 “퇴계의 학식의 조예야 말로 운명의 제유와도 비교되지 않는 것”이라고 하여 평가의 범위를 한중일 3국으로 확대하더라도 당시로서는 이황이 1인자임을 역설하였다.
Ⅱ.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생애와 저술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 퇴계 이황은 연산군 7년(1501) 안동에서 이식(李埴)과 춘천 박씨의 7남매 중 막내로 태어나 7개월 만에 아버지를 여위고 홀로된 어머니 밑에서 성장하였다.






Ⅰ.머리말
Ⅱ.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생애와 저술
Ⅲ.퇴계 이황의 주요활동
1.학문과 수양법
2.교육
3.정치
Ⅳ.퇴계 이황의 사상
1.양명학 비판론과 거경궁리의 방법론
2.이기론(理氣論)
3. 심성론과 사단칠정 논쟁
4.경(敬)의 윤리
Ⅴ.맺음말
Ⅰ.머리말
이황과 거의 같은 시대에 조선 성리학의 쌍벽을 이루었던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는 그를 가리켜 “선생은 세상의 유종으로서, 정암 뒤로는 서로 비견할 사람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