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화학experiment(실험) - 산화, 환원 적정 (요오드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2-29 01:23
본문
Download : 분석화학실험 - 산화, 환원 적정 (.hwp
직접법은 의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같은 강환원제를 직접 산화시키는 방법이다.
분석화학실험,산화, 환원 적정,요오드법
설명
순서
산나트륨의 몰 질량은 174.11g/mol 이므로 0.005mol 의 티오황산나트륨은
,
다.
Download : 분석화학실험 - 산화, 환원 적정 (.hwp( 76 )
-위의 두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티오황산나트륨 용액과 KI수용액을 이용하여 농도를 알수 없는 미지의 황산구리 용액을 적정해야 한다. 직접법은 의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같은 강환원제를 직접 산화시키는 방법이다. 뷰렛을 사용하여 조금씩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을 가해야 하는데 색깔의 change(변화)를 observation하여 test(실험) 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아 조금씩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을 가하다가 요오드에 색 change(변화)가 있으면 녹말 지시약을 넣어 진한 청색이 사라질 때까지 가해준 티오황산나트륨용액의 부피를 측정(measurement)한다. 여기서 만들어진 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선 미지의 황산구리 용액에 황산구리와 충분히 reaction response할 만큼의 KI 수용액을 넣는다. 요오드 간접법으로 적정하기 위해서 reaction response에 필요한 를 만들기 위해서이다. 두가지 방법에서의 적정반응은 결국 다음과 같은 요오드의 화원, 산화 반응식으로 요약할 수 있다. 만들어진 의 양이 미지의 황산구리용액의 황산구리의 양을 나타내기 때문일것이다 요점하면 미지의 황산구리 용액 25ml에 충분한 양의 KI용액을 넣어준 뒤 뷰렛을 이용하여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적정을 한다.
0.005mol 174.11g/mol =0.87055g 만큼 필요하다. 황산구리는 강 산화제 이므로 KI 수용액을 넣어주면 KI와 reaction response하여 를 만들게 된다. 간접법은 2단계의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진행 되는데 , 일단 강산화제를 이온과 반응시켜 를 생성시키고 다음에 이를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하여 처음 강산화제의 양을 정량한다. 그런데 10%의 수용액을 만들어야 하므로 100ml의 증류수에 넣어야 할 KI 의 질량을 구해야 한다. 간접법은 2단계의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진행 되는데 , 일단 강산화제를 이온과 반응시켜 를 생성시키고 다음에 이를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하여 처음 강산화제의 양을 정량한다. 100ml 부피의 플라스크에 티오황산나트륨 0.87055g 만큼을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측정(measurement)한 다음 증류수를 붓고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잘 용해시킨다.
요오드는 표준환원 전위값이 크지 않기 때문에 직접법과 간접법으로 강한 환원제나 산화제의 적정이 모두 가능하다. 두가지 방법에서의 적정반응은 결국 다음과 같은 요오드의 화원, 산화 반응식으로 요약할 수 있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그 다음 과정으로 KI 용액을 만들어야 한다.



요오드는 표준환원 전위값이 크지 않기 때문에 직접법과 간접법으로 강한 환원제나 산화제의 적정이 모두 가능하다. KI 용액은 10%의 비율을 가지고 만들어야 한다. 100ml의 증류수에 KI를 넣어서 만든다.analysis화학experiment(실험) - 산화, 환원 적정 (요오드법)
그러므로 100ml의 증류수에 11g 의 KI를 넣어서 10% KI수용액을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