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면평가에 관하여 - 성과관리제도하에서의 다면평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3 13:11
본문
Download : 다면평가에관하여.hwp
단순히 직속상관으로부터 평가를 받는 것이 아니라 본인, 동료, 상사, 부하직원, 내부고객, 외부고객 등 여러 분야 관련자로부터 평가 및 피드백을 받는 제도를 의미한다. , 다면평가에 관하여 - 성과관리제도하에서의 다면평가법학행정레포트 , 다면평가에 관하여 - 성과관리제도하에서의 다면평가
다면평가에 관하여 - 성과관리제도하에서의 다면평가
순서
성과관리제도하에서의 다면평가
1. 들어가며
최근 비즈니스 environment(환경) 이 급변하면서 성과관리제도의 중요성이 재차 강조되고 있따 적절한 성과관리제도를 갖추고 있는 기업에서는 직원들이 회사의 중요 goal(목표) 를 인식하고 이를 달성하려고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예를 들어 평가 실시 목적, 관련된 평가자의 범위, 평가자 선발과정, 평가자의 수, 평가영역, 평가시기, 평가실시형태, 평가주관부서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될 수 있따 한 예로 평가자를 내부인력으로만 구성할 것이냐, 외부고객과 이사회까지 포함할 것이냐만으로도 상당히 다른 형태의 평가가 될 것이다. 다면평가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다. 그러기에 다면평가의 모든 형태를 망라하여 언급하기보다는 공통점을 근거로 기술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2. 다면평가
성과관리제도에서 다면평가가 주로 활용되는 영역은 컴피턴시(competenc…(drop)
Download : 다면평가에관하여.hwp( 99 )
다면평가에,관하여,-,성과관리제도하에서의,다면평가,법학행정,레포트
설명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다면평가는 말 자체가 의미하듯이 전방위 평가이다.
레포트/법학행정





다면평가에 관하여
다면평가에 관하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모두 하나가 되어 회사goal(목표) 달성을 위해 매진하게 될 것이다.
성과관리제도에 대한 비판 중 자주 거론되는 것이 ‘육성형 평가’가 아니라 ‘사정형 평가’라는 것이다. 평가가 단순히 순위를 매기거나 등급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것이지, 개인의 부족한 점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지 못한 기업에서는 회사, 부서, 팀의 goal(목표) 가 무엇인지를 직원들이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기에 개인과 회사 goal(목표) 간의 연계성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곳에서는 회사의 goal(목표) 를 근거로 팀이나 부서의 goal(목표) 를 결정하고, 팀이나 부서의 goal(목표) 를 근거로 개인의 goal(목표) 를 결정한다. 더불어, 기존의 성과관리제도는 개인에 대한 피드백이 직속상사로부터 일방적으로 제공되기에 객관성이 결여되고 평가자의 오류가 미치는 influence(영향)이 지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