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개념과 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6 18:32
본문
Download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개념과 .hwp
소위 gross stress reaction으로 불리던 증세들도 여기에 해당된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개념과 치료
2.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일들
4. 특정 문화 및 나이
1. 최신정신의학, 민성길, 일조각, 1995
정신건강 외상후스트레스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치료 정신보건
2. 정신보건 사회사업실천론, 김규수, 형성출판사, 2003
(정신건강론)
다.
5. 원인
5. 정신위생심리, 임창재, 형성출판사, 1997
9. 치료
정신건강 외상후스트레스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치료 정신보건 / * 참고문헌 1. 최신정신의학, 민성길, 일조각, 1995 2. 정신보건 사회사업실천론, 김규수, 형성출판사, 2003 3. 정신의료 사회사업, 안향림외 1, 홍익제, 1994 4.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 이근후 외14, 하나의학사, 1995 5. 정신위생심리, 임창재, 형성출판사, 1997 (정신건강론)
순서
7. 감별 진단
Download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개념과 .hwp( 38 )
정신건강 외상후스트레스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치료 정신보건 / * 서지사항
* bibliography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이 장애는 거의 모든 사람에게 외상으로 경험될 만큼 심한 감정적 스트레스를 경험했을 때 나타나는 장애이다. 1. 관념
6. 임상양상
3. 정신의료 사회사업, 안향림외 1, 홍익제, 1994
4.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 이근후 외14, 하나의학사, 1995
3. 역학
설명
8. 경과 및 예후
이 장애는 歷史적으로 미국 남북전쟁 때 다 코스타가 기술한 바 전쟁터의 군인들에서 보는 심장증상이 주로 된 소위 ‘soldiers heart, 1900년대 초기 정신分析적 관념에 따라 어릴 때 심리적 상처에 의한 외상성 신경증, 그리고 유사하게 제 1차 세계대전 시에 기술된 ’shell shock(포탄 작렬에 의한 충격이란 뜻)와 같은 장애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월남전 당시 병사들에서 발견된 증후군에 의해 그 관념이 확립되었다. 즉 전쟁, 자동차, 기차, 비행기 등 교통수단으로 인한 사고와 산업장에서의 사고, 개인적 피해를 끼치는 폭행, 강간, 테러 및 폭동, 때로는 홍수, 폭풍, 지진ㄹ, 화산폭발 등 생명을 위협하는 재난이 발생했을 때 당시에 받은 충격에 의한 발병이다.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시 전쟁신경증, 나치스의 집단수용소 생존자들의 수용소증후군이나 일본 원자탄 폭발시의 생존자들에서 이들 증상이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