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통제론] [행정학과 2학년 행정통제론 공통]공직부패의 槪念과 이에 대한 대책, (구)부패방지위원회가 공직부패에 대응하기 …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07 04:26
본문
Download : 행정통제론 공통[2].hwp
그러나 부government 패라는 용어 그 자체는 매우 불명확하고 포괄적이어서 법규의 명확성이라는 측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법률용어로 쓰이지 않는 것이 보통이지만 실제로 일반국민이나 언론등에서는 매우 보편화되어 사용되는 용어라고 할 수 있따
가. 부패방지 대책 협의 및 조정체계확립
1. 공직부패의 concept(개념)
공직부패의 유형을 살펴보는 것은 공직부패에 대한 정의와 공직부패의 요인이 갖는 내용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따 즉 공직부패의 concept(개념)이 포함하는 현상들은 그 요인과 더불어 공직부패의 요인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관건이 된다된다.
![행정통제론 공통[2]-1451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9/%ED%96%89%EC%A0%95%ED%86%B5%EC%A0%9C%EB%A1%A0%20%EA%B3%B5%ED%86%B5%5B2%5D-1451_01_.gif)
![행정통제론 공통[2]-1451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9/%ED%96%89%EC%A0%95%ED%86%B5%EC%A0%9C%EB%A1%A0%20%EA%B3%B5%ED%86%B5%5B2%5D-1451_02_.gif)
![행정통제론 공통[2]-1451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9/%ED%96%89%EC%A0%95%ED%86%B5%EC%A0%9C%EB%A1%A0%20%EA%B3%B5%ED%86%B5%5B2%5D-1451_03_.gif)
![행정통제론 공통[2]-1451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9/%ED%96%89%EC%A0%95%ED%86%B5%EC%A0%9C%EB%A1%A0%20%EA%B3%B5%ED%86%B5%5B2%5D-1451_04_.gif)
![행정통제론 공통[2]-1451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909/%ED%96%89%EC%A0%95%ED%86%B5%EC%A0%9C%EB%A1%A0%20%EA%B3%B5%ED%86%B5%5B2%5D-1451_05_.gif)
김태룡. (2000). 「부패행위 어떻게 처벌할 것인가-반부패기구 설치와 권한을 중심으로-」. 경실련 부政府(정부)패추방운동본부 공청회reference(자료)집.
우리나라에서는 정치윤리, 공직윤리에 저촉되는 일탈행위의 유형을 보통 부government 패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공직부패를 정의하기에는 이러한 내용만으로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기관별 자율적 부패방지 대책 추진지도
1. 공직부패의 concept(개념)
류상영. (1999). 부패라운드와 政府(정부)기업관계. 「세계경영과 윤리경쟁력(Ⅰ)」. 기업윤리심포지움.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 신고자의 보호 및 포상
가. 국민권익위원회의 설립 및 의의
6. bibliography
나. 부패방지부의 공직부패 방지기능
1) 부패행위의 상담 및 신고
마. 평가결과의 환류를 통한 기관별 반부패활동 강화
순서
설명
김종범·김준기. (1996). 부패·무역 연계에 관한 연구. 「통상법률」. 제12호.
[행정통제론] [행정학과 2학년 행정통제론 공통]공직부패의 槪念과 이에 대한 대책, (구)부패방지위원회가 공직부패에 대응하기 위해 수행한 기능과 국민권익위원회 부패방지부로 이 기능이 이전된 후 우리나라의 공직부패 방지
- 다양한 reference(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라. 부패 현안 문제와 제도개선의 연계
3. 공직부패의 대책
Download : 행정통제론 공통[2].hwp( 79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방통대 09-2 행정학과 2학년 행정통제론 공통 참고reference(자료)입니다
5. 국민권익위원회 부패방지부의 공직부패 방지 기능
4. (구)부패방지위원회가 공직부패에 대응하기 위해 수행한 기능
다음으로 다양성을 들 수 있따 공직부패는 뇌물수수와 같은 전형적인 유형에서부터 정보의 왜곡이나 부당한 활용에 이르기까지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는 특징이 있따 이러한 다양성은 곧 공직부패에 대한 명료한 정의나 접근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공직부패의 concept(개념)역시 이러한 현상을 보는 시각, 관점 및 접근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국가의 정치 및 행정제도, history적 전통, 국민의 가치관 및 사회 문화적 특성(特性)이 반영될 뿐만 아니라 한 국가의 내부에서도 그 시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김택. (2000). 반부패제도의 국제적 동향 및 비교연구-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중심 으로-. 「2000년도 학술대회발표논문집」. 한국부패학회.
- 방통대 09-2 행정학과 2학년 행정통제론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김종범·김정환. (1998). OECD뇌물방지협정이 국내 뇌물죄에 주는 영향.「통상법률」. 제19호. 김종범·김준기. (1996). 부패·무역 연계에 관한 연구. 「통상법률」. 제12호. 김태룡. (2000). 「부패행위 어떻게 처벌할 것인가-반부패기구 설치와 권한을 중심으로-」. 경실련 부정부패추방운동본부 공청회자료집. 김택. (2000). 반부패제도의 국제적 동향 및 비교연구-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중심 으로-. 「2000년도 학술대회발표논문집」. 한국부패학회. 류상영. (1999). 부패라운드와 정부기업관계. 「세계경영과 윤리경쟁력(Ⅰ)」. 기업윤리심포지움.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reference(자료)] 김종범·김정환. (1998). OECD뇌물방지협정이 국내 뇌물죄에 주는 effect.「통상법률」. 제19호.
2. 공직부패의 유형 및 특징
다. 이는 부government 패가 단순히 위 단어들의 나열이 아니라 하나의 사회현상을 지칭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공직부패의 유형은 크게 주체와 수단에 따라 구분할 수 있고 부패구조에 따라서 그리고 행위태양에 따라서 즉 정치적 influence(영향)력의 행사에 의한 경우와 공무원의 일탈행위로 인한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따 또한 조직의 유형에 따라서 구분할 수도 있따
공직부패, 공직부패의개념, 공직부패의대책, 부패방지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부패방지부, 공직부패방지기능
2. 공직부패의 유형 및 특징
부government 패는 언어학적으로 부정과 부패가 결합된 합성어라고 할 수 있따 여기서 부정이라 함은 “공무 수행에 있어서 비정당성, 비규범적인 방법으로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행동”을 의미하고 부패라 함은 “부정행위가 행정에 비치는 나쁜 influence(영향)으로서 행정기능의 약화 및 마비, 비능률과 공익의 손실을 초래하는 말로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 부패유발 법규의 체계적 개선
공직부패의 특징은 불변성, 다양성, 특정성, 확산성등을 들 수 있따 먼저 불변성에 관하여 보면, 정도의 차이가 있을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공직자의 부패가 없었던 나라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따 우리나라의 역대 어떤 정권도 부패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였으며, 그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도 하였으나 공직부패는 근절되지도 약화되지도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