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는 회통불교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2 11:55
본문
Download : 한국불교는 회통불교인가.hwp
그 연장선상에서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는 한국불교를 ꡒ다만 지나 불교의 이식ꡓ으로 보고 ꡒ고착성과 비독립성이 있을…(투비컨티뉴드 )
한국불교는 회통불교인가?에 대한 글입니다. 이것은 기존의 필자의 논의에서 지나치게 비판적 입장만이 부각된 점을 바로 잡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오래 전에 이루어진 논의의 theory 적 토대를 보완함으로써 오랜 빚을 일부나마 청산하는 심정으로 본고를 초한다. 곧 불교의 진생명을 투철히 발양하여 불교의 구제적 기능을 충족히 발휘하여 theory 과 실행이 원만이 융화하여진 ꡐ조선불교ꡑ의 독특한 건립을 성취하였음에 있다 인도 및 서역의 서론적 불교, 지나의 각론적 불교에 대하여, 조선의 최후의 結論(결론)적 불교를 건립하였음에 있는 것이다.1) 그리고 지금도 대체적인 틀에 있어서는 그 당시의 생각과 별로 다르지 않다. 문제의 논문 가운데 중요한 부분을 발췌,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그들이 한국文化(culture) 의 성격을 당쟁, 고착성, 반도적 성격 등 부정적 시각으로 매도한 것은 익히 알려진 바이다.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한국불교는 회통불교인가?
한국불교는회통불교인
Download : 한국불교는 회통불교인가.hwp( 39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필자는 십수 년 전에 이미 본 주제와 관련하여 논의할 기회를 몇 번 가졌었다. 비록 충분하게 개진했다고는 할 수 없었지만 나름대로 통불교에 관한 논의는 일단락된 것으로 치부하고 있다
그러나 기왕에 통불교에 대한 얘기가 나온 김에 기존의 結論(결론)을 바탕으로 장차 한국 불교의 future(미래)를 가늠하는 데 일정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한국불교 성격론의 긍정적 면모를 점검해보기로 하였다. 아마도 日本 관학자들의 매도성 한국文化(culture) 론에 대한 대응으로서 민족 자존심을 세워 보려는 시도였으리라고 짐작된다된다.한국불교는회통불교인 , 한국불교는 회통불교인가?인문사회레포트 ,
다.2)
육당이 이 글을 발표한 것은 일제치하이던 1930년 태평양불교학자대회에서였다.
한국불교는 회통불교인가?에 대한 글입니다.
조선이 불교에 가지는 진정한 자랑과 독특한 지위는 따로 조선적 독창의 상에 있을 것이다.
2. 통불교라는 성격론의 발단과 전개
한국불교의 성격에 대해 통불교라는 타이틀을 부여한 것이 육당 최남선이 쓴 〈조선불교―동방文化(culture) 사상에 있는 그 지위〉라는 논문이 효시가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