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과 교육평가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5 05:43
본문
Download : 도덕과 교육평가의 이해.hwp
도덕과평가의의미기능 , 도덕과 교육평가의 이해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도덕과 교육평가의 이해에 대한 資料입니다.
도덕과평가의의미기능
순서




Download : 도덕과 교육평가의 이해.hwp( 12 )
설명
도덕과 교육평가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도덕과 교육평가의 이해
Ⅰ. 교육평가의 의미
(1) 교육평가의 定義(정의): 교에 관계된 모든 현상과 구성요소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측정(measurement)·observe하여 가치나 질 등을 판단하는 주관적 행위
(2) 교육평가에 관한 입장
① 가치판단론적 입장: 교육을 통해 추구하는 가치·目標(목표)가 달성된 정도를 확인·판단하는 과정
② 정보처리론적 입장: 정보의 수집과 활용. 선택과 의사결定義(정의) 의미가 평가의 본질
(3) 평가가 포함하고 있는 측면 (절충적 입장)
① 평가대상인 프로그램(program]) 이나 사물의 長點이나 가치를 판단하고 결정
② 프로그램(program]) 및 사물에서 의도한 目標(목표)에서 요구한 바에 대한 달성 효과(效果)를 판단
③ 의사결정에의 기여
(4) 유사관념
① 측정(measurement)(測定, measurement): 인간의 지적 능력이나 교육적 흥미와 같은 정신적 또는
심리적 特性(특성)을 검사나 질문지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수 또는 양으로 나타내는 것
② 사정(査定, assessment): 교육학에서는 인간의 심리적 또는 행동적 特性(특성)의 크기나
수준을 감정 혹은 추정하는 의미 (평가 > 사정 > 측정(measurement)·검사)
③ 검사(檢査, test): 개인차를 밝힐 목적으로 표준화된 조건하에서 개인의 심리적 特性(특성)을
재기 위한 객관적·조직적인 절차·도구 (교수적·행정적·상담기능, 지적·定義(정의)적·행동적)
(5) 또 다른 구별할 관념
① 평가(評價, evaluation): 고정된 특정 상황을 대상으로 가치판단을 하는 행위
② 총평(總評, assessment): 개인·학습상황·課題 사이의 역동적 관계 반영, 의사결정 행위
Ⅱ. 교육평가의 기능
(1) 형성적 기능(formative function)
① 새로운 교육과정·수업전술 개발 or 현재 것을 수정·보완·改善(개선) 위한 measure(방안) 을 탐색, 결정
하는데 필요한 정보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평가의 기능
② 교육적 조치 시행 이전 or 교육 행위의 수행 과정에서 실시
(2) 총괄적 기능(summative function)
① 교육…(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