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인물들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2 04:16
본문
Download : 일제시대 인물들에 관한 연구.hwp
그는 상소의 굳은 의지를 나타내기 위해 도끼를 들고 고종 황제 앞에 나아가 “불평등한 조약을 체결하시려거든 이 도끼로 먼저 title(제목)을 치시고 하십시오.”라고 호소하였다.^^
□ 서 론 * * * 머 리 말
□ 본 론
Ⅰ. 민 족 주 의 계 열
1. 최 익 현 5. 송 내 호
2. 김 가 진 6. 이 극 로
3. 홍 종 우 7. 박 용 만
4. 이 은 찬 8. 강 기 동
Ⅱ. 친 일 파
1. 조 중 응 6. 김 종 한
2. 민 원 식 7. 윤 치 호
3. 이 광 수 8. 우 범 선
4. 장 직 상 9. 이 하 영
5. 정 란 교 10. 김 홍 륙
Ⅲ. 사 회 주 의 계 열
1. 김 단 야 3. 황 태 성
2. 박 헌 영
□ 결 론 * * * 맺 음 말
Ⅰ. 민족주의 계열
1. 최익현(崔益鉉, 1833 - 1906) - 조선왕조의 마지막 충신
최익현의 본관은 경주이고 호는 면암, 초명은 기남이며 자는 찬겸이다. 화서는 제자들에게 성리학의 명분론과 존왕양이의 춘추의리(春秋義理)와 척사위정에 의한 전통 회복과 창의 호국할 수 있는 정신적, 실천적 교육을 강조하였는데 그것은 민족국가의 자주권 회복과 구국항일운동으로 승화 되어 갈수있었다. 그는 1873년 2차에 걸쳐 당시 정치의 폐습시정과 대원군 탄핵을 상소하였는데 이것이 집권층 부패와 시정의(定義) 문란을 왕도정치 사상으로 날카롭게 지적하고 비판한 계유상소이며 이 상소로 10년 집정의(定義) 대원군이 물러나고 고종이 친정함으로써 왕권의 회복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대원군이 하야 하였으나 부자간을 이간시켰다는 이유로 그도 제주도로 유배되었다가 1875년에 유배에서 풀려날수있었다. 그의 상소는 당시 조선의 정치, 경제 및 도덕에 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따
첫째, 회친을 맺는 것은 좋으나 회친의 주도권이 이미 일본 손에 있기에 그 시점에서의 화친은 일본에 대한 굴종밖에 다른 것이 전혀 없다는 것.
둘째, 일본은 공업국인데 우리나라는 농업국이기에 공업의 무한대한 역량을 농업의 유…(skip)
일제시대 인물들에 관한 연구
설명
Download : 일제시대 인물들에 관한 연구.hwp( 11 )
^^1 , 일제시대 인물들에 관한 연구경영경제레포트 ,






순서
1
,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경영경제
다.
최익현은 23세 때 대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사헌부등의 여러곳에서 중임을 역임하였다. 그는 14세때 화서 이항로 문하에 들어가서 유학을 배웠다. 그중 가장 우리의 폐부를 울린 글은 면암 최익현의 병자 척화상소 5개 조문이다. 그가 유배에서 풀렸을때 개항 문제가 대두되어 강화도 조약을 놓고 지부복궐하여 척화위소를 올리며 개항을 근심하여 격렬하게 반대 상소문을 올렸다. 그는 신라 말기의 대학자 최치원의 세손으로서 1833년 순조 33년에 경기도 포천현에서 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