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 욕구와 이성적 바람 및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1 11:47
본문
Download : 생물학적 욕구와 이성적 바람 및 사적.hwp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생리적인 욕구가 절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임적으로 발현될 경우, 이기심의 확장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이 도래할 것으로 여긴다. 생물학적으로 동물일 수밖에 없는 인간 역시 이러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 때문에 모든 인간은 살아 있는 한, 이욕망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그들은 생물학적 욕구의 방임적 성향을 염려하고, 도덕적 삶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욕망의 내용과 방향 및 실현 방법 등에 대해 다양한 관점이 있다. 이것은 인간이 욕망을 추구하는 존재임을 의미한다. 이철승,「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동양철학연구 제 61회』, 동양철학연구회, 2010
생물학적 욕구와 이성적 바람 및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생물학적 욕구와 이성적 바람 및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생물학적 욕구와 이성적 바람 및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
※ 욕망의 토대
.
다. 이철승,「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동양철학연구 제 61회』, 동양철학연구회, 2010
.
욕망이란 ‘하고자 하는 것’으로 생리적인 욕구인 본능(本能)과 생리적인 욕구나 이성적 바람을 채우는 과정에 좋은 것으로 더 하고자 하는 마음인 가욕(加欲)과 도덕적 goal(목표) 나 이성적 계획을 이루고자 하는 소망(所望) 등의 의미를 포함한다. 동물들은 이러한 욕구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생존의위기에 직면하기도 한다. 이철승,「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동양철학연구 제 61회』, 동양철학연구회, 2010
생물학적 욕구와 이성적 바람 및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생물학적 욕구와 이성적 바람 및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생명체에게는 물질대사를 통해 개체를 보존하려는 식욕, 잠들고자 하는 수면욕, 종족 보존과 깊게 관련된 성욕 등 ‘생명의 자기 유지’와 관련된 기본적인 욕구가 있다. 선진 시대공자나 맹자는 인간의 욕망을 부정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긴다. 많은 철학자들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 욕망의 문제를 중요하게 취급했다. 그러나 욕망에 대해 모든 사람이 동일한 관점을 취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
생물학적 욕구와 이성적 바람 및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본능은
1. 본능
순서
생물학적 욕구와 이성적 바람 및 사적 이익과 공적 의로움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Download : 생물학적 욕구와 이성적 바람 및 사적.hwp( 23 )
유가철학에서도 이 욕망의 문제는 중요하게 취급되어진다. 이철승,「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동양철학연구 제 61회』, 동양철학연구회, 2010
주희와 왕부지 역시 이러한 생리적인 욕구와 생리적인 욕구를 채우는 과정에 좋은 것으로 더 하고자 하는 마음의 문제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인다 이철승,「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동양철학연구 제 61회』, 동양철학연구회, 2010
공자와 맹자를 중심으로 하는 선진 유학자들은 대부분 이러한 생리적인 욕구의 발현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긴다. 따라서 동물들은 이러한 욕구를 채우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왜냐하면 인간은 태생적으로 이러한 생리적인 욕구를 발현해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은 이러한 이기적인 태도를 지양의 대상으로 삼는다.3) 이러한 욕구는 살아 있는 동물들에게서 공통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