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창작학과] [북한문학의 이해4] 독서감상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07:47
본문
Download : 소설사레포트.hwp
보이는 것은 장벽뿐이었고 5천 년 동안 누려왔던 민족적 동질성은 분단체제의 냉전이념 文化(culture) 와 폭약에 의해 한 조각씩 뜯겨 나갔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Download : 소설사레포트.hwp( 90 )
-북한문학에 대한 연구와 우리문학의 과제課題-
설명
순서





[북한문학의 이해4]을 읽고 요약과 북한문학과 우리문학사이의 접점과 진로 방향 모색에 관해 쓴글
[문예창작학과] [북한문학의 이해4] 독서감상문
북한/북한문학/독서감상문/우리문학의접점
민주화와 통일이라는 새 구호가 난무하면서도 유독 文化(culture) 예술에서만은 빳빳해진 냉전의 얼음 덩어리가 그대로 있다. 어느새 북한과는 다른 文化(culture) 를 지니게 되었다고 자랑스럽게 주장할 만큼 이질감이 커졌다. 정치, 경제적인 온갖 회담과 교류가 추진, 진행되고 있으며 ‘적대감 해소’가 거론된 지금에도 文化(culture) 예술에 대상으로하여만은 가끔씩 위협적인 ‘좌경용공론’이 찬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남북한은 철저한 상대측 문학의 존재가치 부인과 박멸을 기본정책으로 삼아 왔다. 마치 상대측 문학은 문학도 아닌 것처럼 매도하고 저주했다. 과연 오늘의 우리는 북한문학을 수렴할 만한 잠재력이 없을까? 아니 잠재력의 문제가 아니라 근본적으로 ‘민족문학’의 차원에서 받아드릴 처지가 못 되는 것일까?
[북한문학의 이해4]을 읽고 요약과 북한문학과 우리문학사이의 접점과 진로 방향 모색에 관해 쓴글
다.
1948년 분단 고착화 이후 남북한은 서로 다른 이념과 방법으로 문학예술을 전개시켜 왔다.
나는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남한과 북한의 문학사가 민족통일을 당위의 課題로 의식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적대적으로 수용하여 만연하려는 반성적인 자각과 문학적 實踐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라고 한 최동호의 意見(의견)에서 찾고자 한다. 이는 곧 우리가 분단문학을 다루어야 할 시점에 다다랐음을 뜻한다. 즉, 개화기 문학부터 50년대의 시와 소설에 이르기까지의 문학사 이후가 바로 이 해방 이후 민족 분단의 시대인 것이다. 최동호가 밝힌 대로 한국의 현대사에서 해방 이후의 시대는 민족 분단의 시대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