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전기의 history(역사) 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1 12:22본문
Download : 고려전기의 역사인식.hwp
국호를 고려라하고, 고구려 수도이던 평양(平壤)을 서경(西京)으로 승격시켜 북진정책의 거점으로 발전시킨 것, 그리고 발해(渤海)의 망명귀족들을 대거 포섭하여 우대한 것 등이 그러한 국가적 이상과 관련된 것이였다.
歷史인식(歷史認識)이란 그시대의 歷史적 Task 와 사회운영원리로서 그 시대성과 당시 사람들의 의식구조를 알아보는 것인데 고려전기의 歷史인식은 새로운 왕조성립과 그 유지에 수반되는 정치적인 방향을 통해 전시대와는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 왕조의 정통성을 위한 의식확립은 필수조건이였다. 이미 국력이 …(skip)
고려전기의 역사인식발표자료[1] , 고려전기의 역사인식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발표자료(資料)[1]
Download : 고려전기의 역사인식.hwp( 81 )
순서
고려전기의 history(역사) 인식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고려전기의 history(역사) 인식
다. 고려전기(高麗前期)의 歷史인식(歷史認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고려건국(高麗建國)의 의미부터 알아볼 필요가 있따 10세기 초 왕건(王建)에 의한 고려건국은 신라말기의 사회적 모순을 지양하여 좀더 도덕적인 사회를 재건하고 후삼국(後三國)으로 분열된 주민들을 재통합하여 민족통일을 한 단계 진전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고려시대의 歷史인식을 서술할 때 고려전기는 건국이후부터 무신난(武臣亂)이 일어나는 1170년대까지를 말한다. 고려 또한 예외는 아니어서 건국이후 민족의 재통일과 호족통합을 이룩하여 정치적 안정을 꾀하고 이후 귀족 문벌 사회가 번창하기까지 그 시대에 맞는 歷史의식을 확립하려 하였다. 지금부터 우리는 이 고려전기의 歷史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歷史서이자 당시의 歷史인식을 반영하기도 하는 삼국사기에 상대하여도 알아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이는 당시의 실정으로서는 그럴 수밖에 없었다.
@고려(高麗)전기의 歷史계승의식(歷史繼承意識)
1. 고구려계승의식(高句麗繼承意識)
고려(高麗)는 신라의 변경지방에서 성장한 지방세력들이 연합하여 세운 것이지만 그 core적 주역은 예성강 일대의 고구려 후예들이었으며, 고구려의 옛 영토를 수복하고 그 후예들이 세운 발해의 유민들을 포용하여 민족의 대통일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 국가적 이상으로 표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