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조 소악부 - 定義(정이) 형성배경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0 16:50
본문
Download : 고려조 소악부 - 정의 형성배경 익.hwp
이는 기속악부에 있어서도 비슷하다. 그러나 기속악부의 경우 민간세계에 관심을 기울인다고는 하나
2. 소악부의 형성배경
고려조 소악부 - 정의 형성배경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고려조 소악부 - 정의 형성배경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소악부의 정의 2. 소악부의 형성배경 3.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 4.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목차
우리나라에서 일컫는 소악부란 고려 때의 익재 이제현이 우리 고유의 민요를 칠언절구의 한시로 번역한 데서 유래(由來)되었다.
소악부란 쉽게 말해 당시 유행했던 속요를 한시로 옮겨 놓은 것을 뜻하는 것으로 한문학의 악부(樂府) 속의 한 분파이다. 그러므로 소악부의 역싸적 형성배경은 고려후기 기속악부의 형성배경과 전적으로 그 궤를 같이 한다. 즉, 소악부라는 양식은 상층의 권문세가에 대상으로하여는 비판적이면서 서민세계에 대상으로하여는 친화감을 지닌 채 일종의 중간사회층으로서 새로운 지배계급으로 부상하고 있던 여말 신진 사대부 층의 사회 내 위치와 관심, 취향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보인다. 민간의 자잘한 이야기, 남녀상열지사와 같은 민간의 생활을 소재로 한 민요풍의 시를 뜻하는 것으로 고려 말 대표적 문인으로 김극기와 이규보가 있다아
Ⅰ. 서론
순서
1. 소악부의 정이
.
고려조 소악부 - 定義(정이) 형성배경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4.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고려조 소악부 - 定義(정이) 형성배경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
다. 요점해보면 소악부란 절구체이면서 내용은 고려 속요나 조선의 시조를 담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제현의 소악부는 <익재난고> 권4에 11편이 전하고, 민사평의 것은 <급암선생시고> 3권에 6편이 전하고 있다아 고려시대 민중들이 부르던 속요를 번해한 소악부의 정이와 그 발생 배경, 그리고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를 통해 소악부의 내용과 형식, 거기에 나타난 민중들의 현실 대응 의식이 어떠했는가 하는 점을 살펴봄으로써 소악부의 국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소악부의 定義(정이)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Ⅱ. 본론
2. 소악부의 형성배경
를 통해서도 확인되는 것처럼 여말 사대부 층이 일반적으로 공유하고 있던 민간의 동향과 백성의 삶에 대한 높은 관심이 소악부라는 독특한 형태로 표현된 것으로 봄이 타당할 것이다.
Ⅱ. 본론
Download : 고려조 소악부 - 정의 형성배경 익.hwp( 49 )
고려조 소악부 - 정의 형성배경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고려조 소악부 - 정이 형성배경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
소악부가 처음으로 지어진 것은 고려 말 익재 이제현에 의해서이다.
이제현의 소악부는 <익재난고> 권4에 11편이 전하고, 민사평의 것은 <급암선생시고> 3권에 6편이 전하고 있는데 소악부 17편 가운데서 우리말 가사도 함께 남아 있어서 서로 대조해볼 수 있는 것은 ‘처용가’, ‘정석가’, ‘서경별곡’, ‘쌍화점’의 부분들이 포함되어 있는 네 편이다. 즉 문자로 기록한 민간의 노래였기 때문에 악부라고 하는 중국(China)의 용어를 가져다 썼으며, 칠언절구의 짧은 형식을 사용했으므로 소(小)악부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이다. 이는 속요나 시조를 한시 절구로 번안한 형태이다.





설명
고려조 소악부 - 定義(정이) 형성배경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악부는 중국(China) 한대(漢代)에 각지의 민요를 채집하여 음악을 관장하던 관청의 이름으로, 거기서 불리던 노래의 가사인 시가를 악부라 하였는데 그 뒤 음악과 함께 쓰이지 않고 시가만 독립하게 되었다. 또 『고려사』 악지(樂志)에는 introduce되어 있되 우리말 가사가 전해지지 않는 소악부 7편이 있다아
3.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
소악부(小樂府)는 당시의 민요와 시가를 7언 절구 형식으로 한시화한 형태이다. 그가 당시의 민요나 속요를 소악부화한 데에는 그의 개인적 취향도 무시할 수 없지만 그러나 그보다는 기속악부(紀俗樂府) 기속악부는 악부의 한 갈래로서 민간의 풍속과 백성의 생활 實態를 그려놓은 악부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