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작품에 나타난 일본어 경어표현의 번역 전략(戰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8 06:09
본문
Download : 문학작품에 나타난 일본어 경어표현의 번역 전략.hwp






Download : 문학작품에 나타난 일본어 경어표현의 번역 전략.hwp( 70 )
본 고에서는 특히 일본의 현대 소설의 경어표현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각 등장인물들이 장면마다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경어 표현을 유형화하고, 각 장면마다 개별 경어표현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일본어 경어 표현의 양상을 살펴보는 한편, 한국어 텍스트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일본어 경어법의 번역 전략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문학작품에 나타난 일본어 경어표현의 번역 전략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1. 들어가기
2. 서구의 공손표현(politeness)theory 과 日本(일본)어의 경어
2.1 서구의 politenesstheory 의 배경
2.2 日本(일본)어의 경어
3. 실례 analysis(분석)
3.1 연구방법
3.2 analysis(분석) 방법 및 데이터
4. 나오기
이상 politeness에 관한 선행 연구에 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는데, 특히 日本(일본)어의 경어표현을 브라운과 레빈슨의 face theory 에 비추어 생각해 보면, 서구의 화용론 연구와 politeness theory 을 그대로 日本(일본)어 경어표현에 대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본다.
2.2 日本(일본)어의 경어
2.2.1 日本(일본)어의 대우표현과 경어
日本(일본)어에서 경어는 대우표현의 한 종류로 인식되고 있다(『待遇表現』文化廳,1971). . 보통 대우표현이란 화자가 자기 자신·청자·화제의 인물 사이에 상하·친소(親疎) 등, 어떠한 관계에 …(省略)
문학작품에 나타난 일본어 경어표현의 번역 전략(戰略)
다.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본 고에서는 특히 일본의 현대 소설의 경어표현을 analysis대상으로 하여, 각 등장인물들이 장면마다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경어 표현을 유형화하고, 각 장면마다 개별 경어표현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analysis함으로써 일본어 경어 표현의 양상을 살펴보는 한편, 한국어 텍스트와의 비교 analysis을 통해 일본어 경어법의 번역 전략(戰略) 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브라운과 레빈슨의 theory 의 `face`가 동양의 `체면`과 일맥상통하는 定義(정의) 이라 할지라도 日本(일본)인의 경어 사용은 단순한 `체면 지키기`를 위한 책략에 그치지 않으며 훨씬 복잡한 요소에 influence(영향)을 받으며 경어를 사용하기 때문일것이다 日本(일본)어 경어 중 상대방을 높이는 존경어는 FTA theory 과 연관 지워 생각하면 적극적인 positive politeness라 할 수 있지만, 화자가 역학적인 상하관계를 의식하여 존경어를 사용함으로써 상대방으로부터 받을 지도 모르는 불이익을 피하고 자신의 입장을 지키고자 하는 기능을 생각해 보면 negative face로 볼 수도 있다아 또, 자신을 낮춤으로서 상대방을 높이는 겸양어는 negative face로만 작용하지 않고 positive와 negative face가 함께 작용하고 있는 경어표현이라 할 수 있다아 또한 日本(일본)어 대우표현 중 독특한 형식이라고 볼 수 있는 미화어는 현대에 들어 그 본래 기능이 많이 변형되었지만 상대방과 관련된 행동이나 물건을 미화어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품위를 드러내거나 상대방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관점에서 역시 때로는 positive face로 때로는 negative face의 유지라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아
그렇다면 실제 日本(일본)어의 경어가 쓰이는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경어표현과 관련된 요소와 경어표현을 선택하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게 되는 지 다음 절에서 살펴보기로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