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과 윤리 -익명과 실명, 프라이버시 침해와 인권, 창작과 표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9 13:47
본문
Download : 인터넷과 윤리 -익명과 실명, 프라이.hwp
피터 스타이너는 왜 이런 만화를 그렸을까. 누리망 의 특성인 익명성과 모호성이 갖는 부정적인 현상을 풍자하려 했던 것이라고 한다. 누리망 문화의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부분이기도 한다.
누리망 과 윤리 -익명과 실명, 프라이버시 침해와 인권, 창작과 표절
.
<익명성의 정의(定義)>
익명성이란 어떤 행위를 한 사람이 누구인지 드러나지 않는 특성을 말한다.인터넷과 윤리 -익명과 실명, 프라이버시 침해와 인권, 창작과 표절
지연, 혈연적 결합이 붕괴되는 과정에서 볼 때 사회 통제가 미치지 않는 도시 사회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중화 현상의 하나가 익명성이다. 그렇다고 실명제를 강요하면 표현의 자유가 위축될 수 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 헌영 외『지식정보사회와 윤리』조선대학교 출판부 2003 P142 참조
<표현의 자유와 제한>
다.
.
.
설 헌영 외『지식정보사회와 윤리』조선대학교 출판부 2003 P121~122 참조
네이버 백과사전 참조
유엔에서는 1966년 <市民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B규약)>을 채택했다. 익명이 가능하고 신분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악용되기도 한다.”누리망 의 속성을 잘 묘사하고 있는 대목이다.
누리망 시대의 금언이 되어 네티즌의 의식 속에 깊이 자리 잡은 말이 있다. 여기에서 개인의 익명성이 진행된다
순서





인터넷과 윤리 -익명과 실명, 프라이버시 침해와 인권, 창작과 표절
누리망 의 비동시성은 원활한 통신을 가능케 한다. 현대인은 거대한 집단 속의 하나의 분자로서, 획일적 행동 양식을 취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개인은 거대 집단의 불특정 다수인의 일원이 되어, 개인의 행동은 감추어지게 되고, 군중의 한 구성 분자로 매몰되고 만다. 이 말은 1993년 6월 5일자 『뉴요커』에 게재된 만화에 등장하고 있다. 바로 “누리망 상에서는 아무도 당신이 개라는 사실을 모른다. 이 협약
설명
인터넷과 윤리 -익명과 실명, 프라이버시 침해와 인권, 창작과 표절
인터넷과 윤리 -익명과 실명, 프라이버시 침해와 인권, 창작과 표절 인터넷과 윤리 -익명과 실명, 프라이버시 침해와 인권, 창작과 표절
Download : 인터넷과 윤리 -익명과 실명, 프라이.hwp( 42 )
인터넷과 윤리 -익명과 실명, 프라이버시 침해와 인권, 창작과 표절
이 개인의 익명성은 대중화를 특징짓는 조건의 하나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