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왜구의 성격과 침입목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30 12:37
본문
Download : 고려시대 왜구의 성격과 침입목적.hwp
따라서 미곡을 약탈하는 데 있어 주된 대상은 조곡을 운반하는 漕船과 양곡을 저장한 창고(漕倉)였다.
,경영경제,레포트




왜구
(1) 왜구의 성격과 규모
(2) 왜구의 침구목적
(3) 왜구의 침입
(4) 왜구에 대한 대책
(1) 왜구의 성격과 규모
왜구는 《고려사》에 倭寇 · 倭賊 · 倭奴 · 海寇 또는 단순하게 賊 · 寇 · 賊船 · 船寇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아 이들 각 명칭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왜구란 왜가 바다를 통하여 寇賊행위를 한다는 의미로 쓰여지고 있으며, 적어도 충렬왕 4년(1278) 이전부터 왜구라는 말이 숙어로써 사용되고 있었다.
왜구의 근거지는 특이 막부의 통제력이 약한 변방이었지만, 확실한 지역이 어디인가에 대하여는 이견들이 있다아 추정해봤을 때 왜구의 근거지는 한두 곳이 아니라 우리나라와 가까운 북구주의 섬들과 연안지역 대부분이었음을 알 우 있다아
왜구의 규모는 많은 때는 400여척이라 하고 적은 때는 20척이라고 하였다. 특이…(省略)
순서
고려시대 왜구의 성격과 침입목적
우리나라의 역사속에서 나타나는 왜구의 성격과 침입목적, 대책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왜구가 발생하게 된 요인은 당시 日本 이 남북조의 쟁란기였던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아 곧 정권이 양분되어 중앙통치권이 지방에까지 미치지 못하는 57년이란 긴 기간 동안 사회적 불안은 증대되었다. 또 혼란기를 맞이하여 무사들은 쟁란에 편승하여 소유 영지를 확대시키고자 획책하였다. 또한 왜구는 단순한 해적의 오합지졸이 아니고 배후에는 유력한 土豪가 있어 직접 조종하였다고 할 수 있다아
(2) 왜구의 침구목적
왜구의 침구목적에 대하여는 정치적 야심이나 culture적 욕구라는 견해도 있으나 경제적 목적이 가장 컸다고 할 수 있다아 왜냐하면 당시의 日本 상황이 남북조의 혼란기였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약탈 대상은 米穀이었다.왜구 , 고려시대 왜구의 성격과 침입목적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고려시대 왜구의 성격과 침입목적.hwp( 43 )
설명
우리나라의 역사속에서 나타나는 왜구의 성격과 침입목적, 대책에 관련되어 조사하였습니다. 이러한 사회정세 속에서 농지를 잃은 농민과, 전쟁에 동원되었으나 보상을 받지 못해 경제적으로 무력해진 하급무사, 그리고 여기에 토지가 적었을 뿐 아니라 그것도 비옥하지 못해 기근을 면키 어려웠고, 변경지방까지 침투해 왔던 상품 화폐경제의 압박 등의 여러 조건들이 日本 의 서쪽 연안 일대의 중소 영주층과 영세농어민을 자극하여 해적이 되게끔 하였고 바로 이들이 고려의 연안에 침입하였던 것이다.
레포트/경영경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