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복] 상례 범절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6 07:28본문
Download : 상례 범절(喪禮凡節).hwp
또한 병자 자신이 자손에게 남기고 싶은 말이 있을 것이니 그것은 교훈(敎訓) 혹은 재산 분배(財産分配) 같은 것도 있을 것이다. 이것을 유언이라 한다.
Download : 상례 범절(喪禮凡節).hwp( 96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1. 신질(愼疾), 2. 유언(遺言), 3. 임종(臨終), 4. 정제수시(整齊收屍), 5. 고복(皐復), 6. 발상(發喪)과 상주(喪主), 7. 호상(護喪), 8. 전(奠)을 올림, 9. 영정(影幀)․향탁(香卓), 10. 관(棺)과 칠성판의 준비, 11. 부고(訃告), , , , , , , , , , , , , 파일크기 : 33K
상례,범절,부고,신질,임종,정제수시,인문사회,레포트
설명
[고복] 상례 범절
1. 신질(愼疾)
2. 유언(遺言)
3. 임종(臨終)
4. 정제수시(整齊收屍)
5. 고복(皐復)
6. 발상(發喪)과 상주(喪主)
7. 호상(護喪)
8. 전(奠)을 올림
9. 영정(影幀)․향탁(香卓)
10. 관(棺)과 칠성판의 준비
11. 부고(訃告)
2. 유언(遺言) 병세가 위급한 상태에 빠지면 가족들은 침착한 태도로 주위를 조용히 하고 운명을 기다리는데 이 때 물어 볼 일이 병자에게 있으면 병자가 대답하기 쉽게 간추려서 묻고 대답을 기록해야 한다. 유언은 자필로 쓰는 것이나 그럴만한 시간적 여유나 기력이 없을 때에는 여러 사람이 지켜 보는 데서 다른 사람이 대리(代理)로 쓸 수도 있따 녹음기가 있으면 녹음을 하는 것도 생존시의 육성을 들을 수 있어 한층 의의가 있을 것이다. 임종은 예견할 수 없는 일이므로 집안에 병세가 위중한 노인이 계실 때에는 급할 때 기별받을 수 있도록 항상 거처를 주위의 사람이나 가족에게 알려두어 속히 연락 받을 수 있게…(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1. 신질(愼疾), 2. 유언(遺言), 3. 임종(臨終), 4. 정제수시(整齊收屍), 5. 고복(皐復), 6. 발상(發喪)과 상주(喪主), 7. 호상(護喪), 8. 전(奠)을 올림, 9. 영정(影幀)․향탁(香卓), 10. 관(棺)과 칠성판의 준비, 11. 부고(訃告), , , , , , , , , , , , , FileSize : 33K , [고복] 상례 범절 인문사회레포트 , 상례 범절 부고 신질 임종 정제수시
순서
다. . 임종(臨終) 임종은 부모가 운명(殞命)하시는 것을 곁에서 지켜드리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