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퀀스기본동작제어회로-자기유지회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4 19:11본문
Download : 시퀀스기본동작제어회로-자기유지회로.ppt
② ①상태에서 입력 BS1이 0(OFF)이 되어도, X에 의해 자기유지회로가 형성되므로 계속 X=(A+C)는 1이 된다된다. 즉, 1이다
③ 정지 스위치 STP(Reset)가 0(OFF)이면 출력 전자릴레이 X가 소자되어 접점 X-a1과 X-a2는 0(OFF)이 되며, 회로는 원상태로 복귀된다된다. 시퀀스 기본 동작 제어회로- 자기 유지 회로
자기유지 회로란 입력신호가 순간적으로 주어졌을 때, 또는 릴레이가 부동작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바뀌었을 때, 이를 기억하여 릴레이 동작을 계속하는 회로를 말하며 복귀입력 신호를 주어야 복귀하는 동작특성(特性)을 갖는다.
③ STP(B…(To be continued )
시퀀스기본동작제어회로-자기유지회로
시퀀스기본동작제어회로-자기유지회로 , 시퀀스기본동작제어회로-자기유지회로기타레포트 , 시퀀스기본동작제어회로 자기유지회로
설명
순서
레포트/기타
시퀀스기본동작제어회로-자기유지회로
Download : 시퀀스기본동작제어회로-자기유지회로.ppt( 69 )
시퀀스기본동작제어회로,자기유지회로,기타,레포트






다.
일반적으로 자기유지 회로는 전자릴레이, 전자접촉기 등의 조작회로에 많이 이용되고 전동기 기동 제어, 정역전 제어에 채용된다된다.
자기 유지회로는 정지(Reset)우선 회로와 기동(Set) 우선 회로로 분류된다된다.
(1) 유접점 시퀀스 정지우선 자기유지 회로 해설
① 기동 스위치 BS1(Set)이 1(ON)이면, 출력 전자릴레이 X가 여자 되고 X의 a접점인 자기유지접점 X-a1과 출력접점 X-a2가 1(ON) 된다된다. 즉, X=(A+C)는 1이 된다된다.
자기유지회로 (Self-Holding Circuit)
자기 유지 회로에서 기동(Set) 신호와 정지(Reset) 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경우, 출력이 0(Off)이 되는 회로를 정지우선 회로라 하며, 기동우선 회로에 비해 전기 안전상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아
1) 정지(Reset) 우선회로
논리식 : X = (A+C) (단, C=X)
정지우선 자기유지 회로의 논리회로
정지우선 자기유지 회로 해설은 다음과 같다.
② 이 때 기동스위치 BS1이 0(OFF) 되어도, 자기유지 접점 X-a1에 의해 릴레이 X가 계속 여자 되므로 출력램프 L은 계속 점등된다된다.
(2) 무접점 시퀀스 정지우선 자기유지 회로 해설
① 입력 BS1이 1(ON)이고 STP의 부정이 1(ON)이면, AND 출력 X는 1(ON) 이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