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기 지각발달(시지각, 깊이지각, 대상물 지각, 기타의 지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1 21:33본문
Download : 영유아기 지각발달(시지각, 깊이지각, 대상물 지각, 기타의 지각).hwp
그러나 유아기의 지각능력은 아직 분화되지 않으므로 유아들은 계속 environment과 상호작용을 경험하여야 한다.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정보는 의미 있는 형태로 선택적으로 구성되어 지각된다 신생아들도 외부environment을 지각한다.
지각능력은 타고나는 것이지만 적절한 자극, 경험, 학습을 통하여도 발달된다 경험론적 경험을 지지하는 실험의 예를 들어보자. 위, 아래와 오른쪽, 왼쪽이 완전히 거꾸로 보이는 렌즈를 사람들에게 끼게 하면 처음에는 대부분의 사람이 무척 혼돈된 생활을 하지만 어느 정도 지나면 거꾸로 보이는 세계에 잘 adaptation(적응) 하게 된다 동물연구에서 Riesen(1947)은 16개월 동안 어둠 속에서 기른 침팬지는 빛에 노출되었을 때 시각 촉각Task 를 할 수 없다고 하였다.
5개월 후 두 집단의 고양이들은 모두 영구적인 시각장애를 나타난다. 고양이의 목둘레에 높은 깃을 세워 자신의 몸을 보지 못하게 하였다. environment 속의 다양한 자극에 대한 지각능력을 능동적으로 발달시키지 않으면 유아들은 environment을 다루는 방법을 모르고 또한 adaptation(적응) 할 수 없다. 이 실험으로 고양이의 시각발달에 큰 결정적 시기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수직선의 우리에서 자란 고양이들은 수평무늬의 물체를, 수평선의 우리에서 자란 고양이들은 수직무늬의 물체를 보지 못했다. 그러나 4주 전이나 12주 후에 한 눈을 가렸을 경우에는 이러한 …(skip)
다. Blackemore(1970)는 생후 2주일 지만 새끼고양이를 흑 백의 수직선 혹은 수평선이 그려진 원통형의 방에서 하루 5시간씩 지내게 하였다. 외부자극을 지각하려면 우선 감각기관이 발달되어야 한다. 그 후의 새끼고양이의 연구에서 4주에서 12주 사이에 한 눈을 가리고 자란 고양이는 정상적으로 두 눈을 발달시킬 수 없었다. 연구자는 고양이의 시각피질에서 수직 혹은 수평무늬만을 정상시력으로 볼 수 있는 세포를 발견하였다.
레포트/공학기술
영유아기,지각발달,시지각,깊이지각,대상물,지각,기타,지각,공학기술,레포트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순서
영유아기 지각발달(시지각, 깊이지각, 대상물 지각, 기타의 지각)
영유아기 지각발달(시지각, 깊이지각, 대상물 지각, 기타의 지각) , 영유아기 지각발달(시지각, 깊이지각, 대상물 지각, 기타의 지각)공학기술레포트 , 영유아기 지각발달 시지각 깊이지각 대상물 지각 기타 지각
Download : 영유아기 지각발달(시지각, 깊이지각, 대상물 지각, 기타의 지각).hwp( 94 )
설명
영유아기 지각발달(시지각, 깊이지각, 대상물 지각, 기타의 지각)
영유아기 지각발달(시지각, 깊이지각, 대상물 지각, 기타의 지각)
지각이란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우리의 주변세계의 정보를 조직하고 해석하는 정신적 과정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