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歷史)란 무엇인가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3 16:03본문
Download : 역사란 무엇인가_114100.hwp
그렇다면 여기서 역싸가의 역할은 무척 커질 수밖…(생략(省略))
역사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E.H.CAR는 추상적 실재로서의 역사(과거의 현실 전체)와 구체적으로 인식된 역사(알려진 과거의 사실 또는 역사적 ... , 역사란 무엇인가 ?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Download : 역사란 무엇인가_114100.hwp( 72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역사(歷史)란 무엇인가 ?
다. 그렇게 되면 역싸적 사실들이라는 것은 어떻게 파악될 수 있겠는가 라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과정에서 CAR는 ‘역싸가’라는 존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것은 역싸가라는 인물들을 통해서 연구되고 해석되어진 부분들로 우리에게 알려질 수 있는 것이다.
역사(歷史)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E.H.CAR는 추상적 실재로서의 역사(歷史)(과거의 현실 전체)와 구체적으로 인식된 역사(歷史)(알려진 과거의 사실 또는 역사(歷史)적 ...
,인문사회,레포트
역싸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E.H.CAR는 추상적 실재로서의 역싸(과거의 현실 전체)와 구체적으로 인식된 역싸(알려진 과거의 사실 또는 역싸적 사실)로 나누었는데 어떤 한 가지의 사건이 일어났고 이 사건으로 사회에 미치는 influence(영향)이 무척이나 클 때 이 사건을 역싸적인 시각으로 재조명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게 된다 그럴 때 이 사건 자체로서 본다면 추상적 실재로서의 역싸가 된다고 CAR는 말하고 있따 그러나 사건을 어떤 나름대로의 시각으로 요점하고자 하는 노력을 시도하여 해석하였다면 이것은 구체적으로 인식된 역싸라고 또한 말하고 있따 그렇다면 이렇게 역싸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으며, 어떤 형태로든 ‘기록’되지 않은 과거는 ‘역싸’가 아니라는 점으로 結論(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역싸적 사실들은 우리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