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사회복지] 사궁의 보호(4궁보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5 05:59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의 사회복지] 사궁의 보호(4궁보호).hwp
즉, 늙고 아내가 없는 홀아비를 환, 늙고 남편이 없는 여인을 과, 어리고 부모가 없는 자를 고, 늙고 자녀가 없는 노인을 독이라 하며 이들에 대한 보호는 삼국시대 이래로 중요한 구제사업으로 실시되어 왔다.
`세종실록` 권 24에 따르면 세종 6년(1424) 34월에 기민 수는 전국 8도 중 경기도와 전라도를 제외한 6개 도에 있어 총 9,818명으로 이는 전국적인 재해가 있었음을 말하고 있따 이들 기민들은 생존을 위하여 전국 각지를 방랑하게 되고 이들 중 일부는 국도인 한성부로 모이게 된다 세종24년(1442) 정월에 한성부의 각 진제장에 수용된 기민 수는 275명이었다. 조선시대에 있어서도 이들에 대한 보호는 관의 의무로 되어 부양할 친족이나 동거할 자가 없는 이들을 일시적 또는 계속적으로 수용하여 의식을 공급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 왔다.
진제장이란
[조선시대의 사회복지] 사궁의 보호(4궁보호)
사궁(四窮)이란 빈곤(貧困)하고 자활할 수 없는 환과고독을 말한다.
`세종실록` 권 24에 따르면 세종 6년(1424) 34월에 기민 수는 전국 8도 중 경기도와 전라도를 제외한 6개 도에 …(skip)
[조선시대의 사회복지] 사궁의 보호(4궁보호) , [조선시대의 사회복지] 사궁의 보호(4궁보호)인문사회레포트 , 조선시대 사회복지 사궁 보호 궁보호
순서
설명
![[조선시대의%20사회복지]%20사궁의%20보호(4궁보호)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A1%B0%EC%84%A0%EC%8B%9C%EB%8C%80%EC%9D%98%20%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82%AC%EA%B6%81%EC%9D%98%20%EB%B3%B4%ED%98%B8(4%EA%B6%81%EB%B3%B4%ED%98%B8)_hwp_01.gif)
![[조선시대의%20사회복지]%20사궁의%20보호(4궁보호)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A1%B0%EC%84%A0%EC%8B%9C%EB%8C%80%EC%9D%98%20%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82%AC%EA%B6%81%EC%9D%98%20%EB%B3%B4%ED%98%B8(4%EA%B6%81%EB%B3%B4%ED%98%B8)_hwp_02.gif)
![[조선시대의%20사회복지]%20사궁의%20보호(4궁보호)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A1%B0%EC%84%A0%EC%8B%9C%EB%8C%80%EC%9D%98%20%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82%AC%EA%B6%81%EC%9D%98%20%EB%B3%B4%ED%98%B8(4%EA%B6%81%EB%B3%B4%ED%98%B8)_hwp_03.gif)
![[조선시대의%20사회복지]%20사궁의%20보호(4궁보호)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A1%B0%EC%84%A0%EC%8B%9C%EB%8C%80%EC%9D%98%20%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82%AC%EA%B6%81%EC%9D%98%20%EB%B3%B4%ED%98%B8(4%EA%B6%81%EB%B3%B4%ED%98%B8)_hwp_04.gif)
![[조선시대의%20사회복지]%20사궁의%20보호(4궁보호)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A1%B0%EC%84%A0%EC%8B%9C%EB%8C%80%EC%9D%98%20%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82%AC%EA%B6%81%EC%9D%98%20%EB%B3%B4%ED%98%B8(4%EA%B6%81%EB%B3%B4%ED%98%B8)_hwp_05.gif)
![[조선시대의%20사회복지]%20사궁의%20보호(4궁보호)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A1%B0%EC%84%A0%EC%8B%9C%EB%8C%80%EC%9D%98%20%EC%82%AC%ED%9A%8C%EB%B3%B5%EC%A7%80%5D%20%EC%82%AC%EA%B6%81%EC%9D%98%20%EB%B3%B4%ED%98%B8(4%EA%B6%81%EB%B3%B4%ED%98%B8)_hwp_06.gif)
[조선시대의 사회복지] 사궁의 보호(4궁보호)
조선시대,사회복지,사궁,보호,궁보호,인문사회,레포트
다. 즉, 늙고 아내가 없는 홀아비를 환, 늙고 남편이 없는 여인을 과, 어리고 부모가 없는 자를 고, 늙고 자녀가 없는 노인을 독이라 하며 이들에 대한 보호는 삼국시대 이래로 중요한 구제사업으로 실시되어 왔다. 조선시대에 있어서도 이들에 대한 보호는 관의 의무로 되어 부양할 친족이나 동거할 자가 없는 이들을 일시적 또는 계속적으로 수용하여 의식을 공급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 왔다.
Download : [조선시대의 사회복지] 사궁의 보호(4궁보호).hwp( 70 )
레포트/인문사회
[조선시대의 사회복지] 사궁의 보호(4궁보호)
[조선시대의 사회복지] 사궁의 보호(4궁보호)
사궁(四窮)이란 빈곤(貧困)하고 자활할 수 없는 환과고독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