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점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5 00:51
본문
Download :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 연구.hwp
근로기준법 제31조 제3항이 사용자는 해고를 피하기 위한 방법 및 해고의 기준 등에 관하여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To be continued )
다.순서




요점해고에서의성실한노사협의의무관련
,법학행정,레포트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요점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 연구
Download :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 연구.hwp( 72 )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1. 근로자 과반수 대표자의 의미
2. 요약해고 사전협의 기간의 법적 의미
3. 요약해고에 관한 사항의 노사협의회 대상 여부
4. 부분 요건 결여시의 효력
1. 근로자 과반수 대표자의 의미
- 근로기준법 제31조 제3항이 요약해고의 절차적 요건을 규정한 것은 같은 조 제1, 2항이 규정하고 있는 요약해고의 실질적 요건의 충족을 담보함과 아울러 비록 불가피한 요약해고라 하더라도 협의과정을 통한 쌍방의 이해 속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이유에서라고 할 것이므로,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 그 협의의 상대방이 형식적으로는 근로자 과반수의 대표로서의 자격을 명확히 갖추지 못하였더라도 실질적으로 근로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대표자라고 볼 수 있는 사정이 있다면 위 절차적 요건도 충족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정리해고에서의성실한노사협의의무관련 ,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요점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무 관련 판례에 마주향하여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