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의 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쟁점 - 쟁의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쟁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2 14:12본문
Download : 쟁의행위의정당성에대한쟁점.hwp
Ⅱ. 쟁의행위의 실질적 정당성 판단기준
1. 주체의 정당성
(1) 노동조합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근로조건의 유지, improvement(개선) 기타 근로자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조직하는 단체 또는 그 엽합단체로 당연히 쟁의행위의 주체가 된다
(2) 법외노조
①관념
노동조합의 실질적 요건은 갖추었으나 형식적 요건을 갖추지 못한 노동조합을 의미한다.
3. 쟁의행위의 정당성판단의 중요성
쟁의행위는 헌법상 보장된 근로자의 권리로서 정당하게 행사되면 민?형사면책과 기타 노조법상의 보호를 받는다.
Download : 쟁의행위의정당성에대한쟁점.hwp( 24 )
쟁의 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쟁점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쟁의,행위의,정당성에,대한,쟁점,-,쟁의행위의,정당성에,대한,쟁점,법학행정,레포트
설명
쟁의 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쟁점 - 쟁의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쟁점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그러나 이들의 쟁의행위를 제한하는 것에 대한 근거가 빈약하다는 지적이 있따
(5) 방위산업체 중 주요방위산업체 종사 근로자
전력, 용수 및 주로…(To be continued )
쟁의 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쟁점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쟁의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쟁점
Ⅰ. 서
1. 노동3권 보장과 쟁의행위
헌법 제33조에서는 근로자의 사용자와의 실질적인 대등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동3권을 보장하고 있따 이러한 노동3권중 단체행동권을 구체화한 것이 쟁의행위이다.
②검토opinion
법외노조는 헌법상의 요건을 갖추었으나 단지 행정편의에 불과한 형식적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이므로 법외노조 역시 그 주체의 정당성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쟁의행위의 정당성을 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3) 비조직 파업
조합원은 노동조합에 의해 주도되지 아니한 쟁의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고 명시함으로써 비공인파업을 금지하고 있따 판례 역시 “단체교섭권한이 없는 일시적 쟁의단의 경우에는 그 주체가 될 수 없다”고 한다. , 쟁의 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쟁점 - 쟁의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쟁점법학행정레포트 , 쟁의 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쟁점 - 쟁의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쟁점
다. 즉 근로자들의 쟁의행위란 파업?태업 등의 자신의 주장을 관철할 목적으로 행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것을 말한다.
(4) 공무원, 교원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쟁의행위를 할 수 없다.
2. 쟁의행위의 정당성과 위법성
노조법에서 정하고 있는 쟁의행위의 기본원칙을 위반할 경우에는 정당성을 상실하게 되나, 정당성을 상실한 쟁의행위가 반드시 위법한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