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과부와 그 아들의 관계 변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2 11:35본문
Download : 조선후기 과부와 그 아들의 관계 변화.hwp
그렇다면 조선후기에 어떻게 여성이 호적대장에 호주로 기재되게 된 것인가. 그리고 이러한 變化(변화)가 나타나는 것은 어떠한 요인에 따른 것인가. 여성이면서 호주로 기재된 존재가 줄어드는 것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이러한 것들이 이 글에서 생각해 보고자 하는 문제이다.
순서
다. 조선후기과부와그아들 , 조선후기 과부와 그 아들의 관계 변화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조선후기과부와그아들
Download : 조선후기 과부와 그 아들의 관계 변화.hwp( 48 )
조선후기 과부와 그 아들의 관계 변화






1. 머리말
2. 17.8세기 호주승계 관행의 變化(변화)
3. 과부와 아들의 관계 變化(변화)
(1) 종법 질서의 확산과 국가의 정책
(2) 남편의 부인에서 아들의 어머니로
(3) 호주와 재주
4. 맺음말
1. 머리말
조선후기에 작성된 『경상도단성현호적대장』에는 단성현에 살았던 주민들이 호 단위로 묶여서 기재되어 있따 이 때, 각각의 호에 맨 앞에 기재되는 존재가 있는데 그들을 편의상 ‘호주’라고 부르기로 하자. 17·8세기의 『단성호적』을 보면 여성이 호주로 기재된 事例가 보인다. 그리고 18세기 동안 그렇게 줄어든 여성호주의 비율은 대체로 유지된다
지금까지 조선후기에 남아 있는 호적대장의 직역을 분석하는 여러 연구들에서 호주 가운데 직역에 과부 등으로 기재된 여성이 있다는 사실 정도는 밝혀져 있따 하지만 그 여성들은 연구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직역 일람표의 한 부분에 별도로 모아서 표시되어 있을 뿐이다.
설명
조선후기 과부와 그 아들의 관계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이는 단순한 예외라고 생각하기에는 많은 수치이다. 이 때 호주는 formula 문서인 호적대장 속에 호를 대표하여 기재된 존재이다. 한편에서는 호적대장의 여성이 호주로 표시되기도 했지만, 그것은 달리 호주로 기재될 만한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임시로 기재된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런데 여성호주가 전체 호주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1678년에서 1717년 사이에 11.1%에서 6.3%로 줄어들었다. 여성으로서 호주로 기재된 경우는 대부분 과부들이었다. 그 1678년 대장에 보면 女性戶主는 234명으로 전체 호주의 11.1%를 차지한다. 조선후기의 호주는 남성인 경우가 많았지만 반드시 남성이어야만 했던 것은 아닌 것이다. 이러한 과부들은 전체 여성 …(To be continued )
조선후기 과부와 그 아들의 관계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그들은 남편의 보호에서 벗어난 존재이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일반적인 여성과는 다른 역할과 권리가 허락되었던 것이다. 결국 조선후기의 호적대장에 기재되어 있는 여성호주에 대상으로하여는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다.